울산대학교 | 오문완교수
본문바로가기
ender

강의게시판

노동법

근로시간과 휴식 Q&A
작성자 오문완 작성일 2024-12-06 조회수 48

 

()

근로시간과 휴식 요약 12

특례업종 연장근로(특례연장)

유연한 근로시간제도와는 양립 불가

는 이해가 어렵다.

 

()

(교재 449)

특례업종에 해당하더라도 탄력적 근로시간제나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특례업종 연장근로는 적용되지 않는다. 법문이 허용하는 연장근로가 53조 제1항에 따른 주 12시간', 즉 규칙적 근로형태에 대한 112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.

의 요약

(바꾸어 말하면)

법 제59(근로시간 및 휴게시간의 특례) 1항에서 통계법22조제1항에 따라 통계청장이 고시하는 산업에 관한 표준의 중분류 또는 소분류 중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에 대하여 사용자가 근로자대표와 서면으로 합의한 경우에는 53조제1항에 따른 주() 12시간을 초과하여 연장근로를 하게 하거나 54조에 따른 휴게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.

고 하고 있지,

53조에 따른 () 12시간을 초과하여 연장근로를 하게 하거나라고 씌여 있지 않다는 겁니다. 532항이 유연근무제에서의 연장근로 허용을 규정하고 있고, 이 조항은 언급하지 않는다는 건 (반대해석을 하면) 이런 경우는 특례연장은 안 된다는 거죠.

(또 달리 말하면)

유연근무(+연장근로)와 특례연장은 둘 중 하나의 선택지라는 것.